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원인, 단계별 치료법

by 원더고 2025. 3. 19.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원인, 단계별 치료법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원인, 단계별 치료법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얼굴 근육을 조절하는 안면신경이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갑작스럽게 얼굴 한쪽이 마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형은 벨마비(Bell's Palsy) 라고 부르고 바이러스 감염이나 혈류 장애, 면역 반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법에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한방치료 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주요 원인과 단계별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원인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바이러스 감염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그중에서도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감염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안면신경을 침범해서 염증을 유발하고 신경 부종과 압박을 초래함으로써 마비 증상을 유발합니다.

그 외에도 대상포진 바이러스, 에비스타인-바 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인 경우 항바이러스제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2) 혈류 장애

안면신경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서 신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신경에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3) 면역 반응 이상

자가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경우 신경을 공격하면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길랭-바레 증후군과 같은 면역 질환이 안면신경마비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외상 및 수술 후유증

교통사고나 안면부 타박상, 귀 수술 등도 안면신경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측두골 골절의 경우는 안면신경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는 원인일 수 있습니다.


2.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단계별 치료법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는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조기에 발견하고 빨리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예후가 좋습니다. 빠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습니다.

1) 초기(발병 후 72시간 이내): 약물치료

발병 후 72시간 이내는 신경 염증을 줄이고 회복을 돕는 치료를 진행합니다.

  • 스테로이드 치료: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과 같은 스테로이드제가 염증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 항바이러스제: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아시클로버(acyclovir)' 혹은 '발라시클로버(valacyclovir)' 같은 항바이러스제를 함께 투여하기도 합니다.
  • 눈 보호: 안면신경마비로 눈을 완전히 감지 못하는 상태일 때는 인공눈물과 안대를 사용합니다.

2) 회복기(1-4주 차): 물리치료, 재활치료

  • 전기 자극 치료: 저주파 전기 자극을 통해 안면 근육이 위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경 회복을 촉진합니다.
  • 안면 근육 운동: 마비된 근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거울 운동이나 저항 운동 등의 안면 근육 운동을 시행합니다.
  • 온열 요법: 온찜질로 혈류를 증가시키고 신경 회복을 촉진합니다.

3) 만성기(4주 이후): 한방 및 보완 치료

  • 침 치료: 한방 침 치료가 신경 재생과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 한약 치료: 신경 회복을 돕는 한약 처방으로 보중익기탕, 계지복령환 등을 사용합니다.
  • 보톡스 치료: 만성으로 진행된 근육 경직이나 비대칭을 개선하는 치료로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주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3.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예후 및 후유증 관리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3~6개월 이내에 회복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는 후유증이 남는 경우도 있습니다.

1) 회복 예후

  • 조기 치료가 이루어진 경우: 70~80%의 환자가 완전히 회복됩니다.
  • 고령, 당뇨병 환자, 심한 마비 환자: 회복 기간이 길어질 수 있고 완전히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후유증 관리

  • 근긴장이상: 얼굴 근육이 과도하게 경직되거나 수축하는 현상으로 보톡스 주사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신경 재생 오류(연합운동): 신경이 잘못 회복되면서 눈을 감을 때 입이 움직이는 것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구건조증: 인공눈물을 사용해야 하고 안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초기에는 스테로이드 및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효과적이고 회복기에는 물리치료와 재활운동이 필요합니다. 만성기에는 침 치료나 한방 치료 혹은 보톡스 등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신경 손상이 심할 경우에는 회복이 더디거나 후유증이 남을 수 있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안면신경마비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방법이 최선의 해결책입니다.